MEDIA
보도자료
2014-09-15
내 차도 깨끗 환경도 깨끗한 자동차 샴푸 고르기
불스원 , 크리스탈소중한 내 차와 환경을 깨끗하고 건강하게 지키려면
친환경 비이온계면활성제 카샴푸를 사용하세요!
l 직접 세차를 하는 셀프세차족 증가에 따라 카샴푸 등 셀프세차 용품 판매 증가
l ‘음이온계면활성제’포함된 카샴푸 사용 증가로 수질오염 등 환경문제 대두
l 카샴푸 구매 시 친환경적인 '비이온계면활성제' 성분의 제품 선택 필요
최근 셀프세차 열풍이 불고 있다. 셀프세차는 젊은 사람들 중심으로 취미생활로 자리 잡았을 정도다. 한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카샴푸와 크리너 등 세차용품 판매가 전년 대비 75% 증가하였고,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셀프세차족 까페 회원 수도 현재 9만여명을 넘어섰다.
특히 셀프세차를 하게 되면서 카샴푸 제품은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풍성한 거품이 생성되는 카샴푸의 세정력이 뛰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카샴푸의 거품의 양과 세정력은 큰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이는 많은 운전자들이 오해하고 있는 잘못된 생각이다. 카샴푸의 세정력은 거품의 생성 정도보다는 어떤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계면활성제는 오염물과 물이 잘 섞이도록 하여 물과 함께 씻겨 내려갈 수 있게 하는 화학물질로, 크게 음이온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로 나뉜다. 그 중 카샴푸에 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면활성제와 비이온계면활성제이며, 그 중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세정력과 거품력이 우수하지만 생분해력이 떨어져 다른 계면활성제보다 더욱 수질오염을 악화시키는 성향이 있어 현재 폐수처리시에 규제를 받고 있다. 반면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안정적이고 세정력이 좋으며, 우수한 생분해력으로 상대적으로 수질오염을 덜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이호근 교수가 한국소비자연맹 대전지부와 공동으로 진행한 예비조사*를 보면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과 세정력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제품의 세정력은 100%로 나타난 반면, 음이온계면활성제를 5.8% 함유한 제품은 66.8%의 세정력을 보여준 것이다. 즉,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풍부한 거품이 세정력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불스원 R&D 센터 신진호 연구원은 "계면활성제는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이온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특히 몇가지 음이온계면활성제의 경우 폐수처리가 어려운 것은 물론 자연상태에서 분해되는 시간이 길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불스원은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카샴푸와 자동차세차기 세제를 출시하였으며, ‘비이온계면활성제’성분으로 만들어진 카샴푸는 세정력이 뛰어나고, 분해시간이 짧아 ‘음이온계면활성제’보다 친환경적이라고 볼 수 있다. 현명한 소비자라면 셀프 세차를 위해 카샴푸를 선택할 때, 계면활성제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음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카샴푸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식품이나 화장품 등을 구매할 때 뒷면의 성분표를 확인하는 것처럼 카샴푸를 고를 때에도 제품을 뒤집어보면 어떤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다. ‘비이온계면활성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음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카샴푸로 세차하면 자동차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도 보호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구성하고 있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명확히 표기하지 않은 제품도 상당히 있는 만큼 소비자의 더욱 꼼꼼하고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하루만 외부에 주차해도 수북이 쌓이는 먼지를 씻어내기 위한 셀프 세차용품도 인기다. 최근 2주간 옥션에서는 카샴푸와 크리너 등 세차용품 판매가 전년보다 75% 늘었다.
*예비조사: 2014년 3월 테스트 진행. 음이온계면활성제 함량 분석 결과(시험기관: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화학제품센터, 방법: KS I ISO 7875 비이온계면활성제 측정법) & 세정력 비교 결과 (시험기관: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세탁세정기술연구센터, 시험방법: EL305 환경표지 대상제품 및 인증기준)